Compartilhar via


[사례 공유]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DirectAccess - Hostway

Windows 7 출시를 앞두고, RDP(Rapid Deployment Program)을 통해, Windows 7을 조기 도입하려고 하는 기업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10여개의 굵직한 기업중, 데이터센터로 유명한 Hostway Korea의 Windows 7 도입이 완료되었습니다.

Hostway Korea는 Windows 7뿐만 아니라, Windows Server 2008 R2와의 연동을 통한 DirectAccess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구축이 완료되어, 직원 분들의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습니다. 관련된 공식 소개 페이지는 여기를 클릭하시면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웹 사이트에서 관련 문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DirectAccess에 관련된 포스팅은…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조직내 네트워크에… Windows 7… DirectAccess 1편 ? Windows Server 2008 R2와 만났을 때 (2)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조직내 네트워크에… Windows 7… DirectAccess 2편 ? Windows Server 2008 R2와 만났을 때 (3)
DirectAccess Early Adaptor’s Guide - Windows Server 2008 R2와 Windows 7…
Windows7, Windows Server 2008 R2의 DirectAccess Step-By-Step Guide!
DirectAccess를 만난 꼬알라.. 그리고 VDI.. 을 통해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DirectAccess와 Windows 7을 통해 어떻게 Hostway Korea가 인프라의 가치를 높힐 수 있었을까요? 동영상을 한번 보시죠!

Comments

  • Anonymous
    July 31, 2009
    이제 슬슬 도입시기가 온건가요? SSL VPN의 한계를 넘을수 있는 해결방안은 DA기술이겠는데... 정말 앞선 기술앞에 문제시 되는 인프라 정책의 장벽이 하나 있습니다. 회사에서 배포되는 배포정책, DRM정책,... 기타 모듈들이 64비트에서는 동작을 안한다는데 문제가 발생합니다. 개발 계획도 없으면 DA도 스포츠카를 구입하였는데 전용 휘발유가 없어서 운전 못하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요. DA를 구현하기까지 회사의 시스템 모듈들을 갈아 치워야 하는 이 단계는 MS에서는 어떻게 해결할지도 의문입니다. 위 동영상 내용중에 그게 와닿네요. 설정하는데 서포터 지원을 받지 않아도 된다?라는... 간단한 VPN 접속 네트워킹 설정하는것도 일반업무를 보는 사용자들에겐 많은 애로사항이 있긴 하죠 ^^;

  • Anonymous
    July 31, 2009
    김윤술님 // 배포 정책, DRM 정책, 기타 모듈들이 64비트에서 동작을 안한다는게 어떤 장벽이 되신다는거죠? 해당 정책, 모듈을 사용하는 서버나 클라이언트는 2008 x86을 사용해서 배포를 하면 되지 않을까요? Windows 7도 x86 버전이 있고.. 내부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많은 서버 모듈은 상당수가 2003 x64 출시이후 64비트 대응이 끝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x64가 조금 문제죠. DA와 모듈의 관계에 대한 말씀은 조금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 Anonymous
    July 31, 2009
    업데이트된 DRM 솔루션이 Win7에서는 오피스 문서 접근 자체를 막아 버리더군요. 저번 업데이트 때는 64비트를 버리더니 갈수록 XP x86에만 특화되네요. 별 수 없이 Win7을 버렸는데 왠지 XP로는 가기 싫어 Win Server 2008을 설치 중입니다. 화면이 훨신 미려하면서도 무선 랜 드라이버를 알아서 잡아 주기까지 하는 Win7이 벌써부터 그립네요.

  • Anonymous
    August 01, 2009
    결론은 위기술이 완벽 구현되기 위해서는 90프로 이상이 MS솔루션 인프라로 구성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는 배포모듈, DRM 모듈은 새로운 OS에 업그레이드 해주거나 개발 할 계획이 없는건지 먼산 바라 보는것입니다. 위에 DA기술은 상당히 좋다~! 그러나 지금 운영되고 잇는 모듈들은 과감히 버릴수 없다는것이 문제죠. 분명 위 기술은 따라가야 맞는것입니다만 써드파티를 이용하고는 회사가 많이 존재하는한 장벽일수 밖에 없다는 저의 생각입니다. ^^;

  • Anonymous
    August 01, 2009
    김윤술님 // 90% 정도 이상의 솔루션이 DA를 위해서 Microsoft의 인프라가 되야한다는 것은 조금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인터뷰에서도 이야기가 나오지만, 기존 인프라에(Linux/Windows 무방), Windows Server 2008 R2를 넣으면.. 인프라 차원의 준비는 다 끝나고요.. 다만 Windows 7이 장벽이실 수 있는데.. 배포 모듈, DRM 모듈에 대해서는 Microsoft가 지금까지 클라이언트 운영 체제를 출시해오면서, 가장 호환성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 해당 업체도.. 비즈니스 적인 요소가 있고.. 모든 호환성 확보를 Microsoft가 하는 것이 아니라, 업체 차원에서 해야 한다는 것은 또다른 요소가 있습니다. (결국은 돈이겠죠.) Microsoft는 호환성 확보를 지원해드리고, 도와드릴 수 있지, 실제 해당 프로그램을 수정해드리고, 개발해드리진 않습니다. 당연히 이부분은 개발사에서 해야할 몫입니다.(이는 IT 분야뿐만 아니라, 새로운 무언가가 나올 때마다 일상에서 생기는 상황이라고 생각하는데..) 요 근래.. Windows 7 조기 도입 프로그램을 소개 및 진행하면서 느꼈던 것은 생각보다.. 윤술님께서 말씀하신 장벽이 크지많은 않다고 느끼고 있었는데.. 그 대상 회사들이 큰 회사여서 그런가라는 의구심도 들긴 하네요. 문제가 있는 3rd 파티 모듈, 정책이.. 어떤 회사것이며..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개인적으로 사실 좀 알고 싶습니다.

  • Anonymous
    August 01, 2009
    wizmusa님 // 저번에 말씀해주신 건은 해당 부분을 관련 부서에 넘겨드리긴 했는데.. 잘 안풀렸나보네요.. 다양한 기업에서 Windows 7 도입을 결정하고 있고, 시장이 어느 정도 움직이면.. 잘 될거라 믿고 있습니다. (속시원한 답변이 아니래서 저도 죄송스럽네요.)

  • Anonymous
    August 01, 2009
    결국 돈이 문제이지 않겠습니까?..^^ 꼭 Microsoft 기술이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긴 한데요. MS 에서 이게 기업에서 최선(적?) 이라고 하는것도, 위 호스트웨이처럼 금새 적용될듯 싶지만 실제론 그렇지 못합니다. 일반 대기업은 모르겠지만,.서버호스팅 부분에서 새롭게 구축되는 서버중 아직도 90% 이상이 2003 입니다. 2000으로 새로 설치되는 서버가 아직도 있을정도 이니깐요. 가상화도 마찮가지 입니다. 대세 인 것처럼 미디어에선 떠들지만,.그것은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물론 MS 에서 구버젼을 안팔면 어쩔수 없이 새로 사야할땐 최신버젼을 쓸수 밖엔 없겠지요.. 그리고 그때쯤이 되서야 해당 제품의 주요 기능의 잇점을 접하게 될것이고요.. 그때 가선 이미 또 다른 새버젼이 나와 있을 것이고..

  • Anonymous
    August 02, 2009
    Atlantis님 // 안녕하세요~ 네 아직도 많은 서버가 2003이라는 것은 저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여전히 기술 지원팀으로 들어오는 이슈도 2003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2008이라고 하니까요. 대세라는 단어에 대해서는 조금은 같이 생각해볼 시간이 필요할 거라 생각합니다. 가상화도 마찬가지라고 말씀하셨는데.. 불과 몇년전에는 아예 볼수도 없었던 것이.. 이제는 굵직한 케이스로 나타나고 있으니까요. 대세라는 단어가 모두다 해야한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트렌드로 흘러가고 있다라고 생각하시면 어떨까요? 새로운 기술이 나왔을 때 그것에 대한 선택은 고객이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Microsoft는 더 많은 기술을 내놓으려고 하는 것이고.. 이 기술이 필요한 개인, 조직, 비즈니스에서 이를 하나의 선택 사항으로 취할 수 있으신 것이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Anonymous
    August 03, 2009
    아~ 김윤술님이 말씀하신 모듈호환성 얘기가 DA와 관련이 무슨 관련이 있나 했는데, 클라이언트 운영체제를 Windows7으로 바꾸어야하는 부분때문에 언급하신건가보네요. 기존 회사인프라가 Windows Server 2008의 Active Directory를 운영중이신 경우 두 개의 실제 네트워크 어댑터가 설치되어 있는 DA전용 서버만 준비하시면 되는데, DA를 사용하기 위해 인프라 90%를 MS로 바꾸는 것은 아닌듯합니다. 물론 클라이언트들이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100% Windows7으로 업그레이드 해야하는 부분은 있겠지요. 클라이언트 업그레이드 과정에 말씀하신 보안모듈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말씀하신거겠죠?^^ 김윤술님의 글을 보고 인프라 업그레이드와 클라이언트 업그레이드랑 연관성에 대해 저처럼 고민하시는 분이 계실까봐 개인적인 생각을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