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tilhar via


T자형 엔지니어가 필요할 때...

일전에 How-to와 Why의 중간에 서서..라는 포스팅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제가 T자형 엔지니어에 대해서 언급을 드렸었는데요..

T자형 엔지니어가 무엇일까요? 언젠가 술자리에서 S모사의 김모팀장님께서 하신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T자형 엔지니어...

만약 여러분께서 면접관이시라면... 여러가지의 기술을 다방면으로 알지만, 개개별 기술에 대해서는 아주 깊게는 모르는 엔지니어와, 여러 기술보단 한가지 기술에 매우 깊게 아시는 엔지니어..중 누구를 선택하시겠습니까? 매우 깊게하는 한가지 기술은 해당 기업에서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하시고요.

대부분 전자를 선택하신다고 하실 것입니다. 보통 한가지 기술을 집중하신 분들의 경우, 해당 기술에 대해 타 엔지니어보다 더욱 많은 스킬과 이론을 아시고 계시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좋다고 하시지만, 기업의 비즈니스 특성상 해결해야 할 비즈니스적 문제에 대해서는 유연성(?)이 떨어진다고 하시는 경우도 봤고... 업무상 여러 방면을 잘 알고 있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라고 하시는 경우도 봤습니다.

가끔씩 외국의 엔지니어들을 보면.. 이번에 싱가폴에서의 라운드 테이블도 그랬지만.. 40세이상까지 엔지니어의 일을 하시는 것을 보면 무척이나 부럽다는 생각을 합니다. 20여년이상을 해당 업무를 했기 때문에, 노하우도 많고, 산전수전 다 겪으셨기 때문에, 문제 해결이라던가, 디자이닝 업무에 능숙하십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엔지니어분들을 만나뵈면, 30대 중반이면 영업이나 마케팅.. 또는 완전 전업을 하셔야겠다는 분들을 많이 뵙습니다. 물론 금전적인 영향과 일의 부담이 크다라고 봅니다. 그러나 가끔... 40세 이상까지 이일을 할 수 없을까? 라는 의문에 빠지곤 합니다.

자기 경쟁력이 있다면, 살아남을 수 있다고 하시지만, 자기 경쟁력과 더불어 시장에서 엔지니어를 인정하고, 뒷받침해주는 분위기도 필요하겠고.. 엔지니어들도 더욱 자신의 기술과 능력을 발전시켜야 겠죠.. 이때 필요한 모델이 T자형 엔지니어가 아닐까합니다.

"ㅡ"자형 엔지니어, "I"자형 엔지니어, "T"자형 엔지니어.. 의미는 아시겠죠?

"ㅡ"자형의 경우엔 앞서 예제의 전자를 이야기하며, "I"자형은 후자.. "T"자형은 이둘을 합친 모델입니다. 여러 방면을 두루 알면서.. 한가지의 자신만의 스페셜을 가지고 계시는...

T자형이 발전하면 "ㅠㅠㅠㅠㅠ" 이런형이 되나요?

시간, 노력, 인간 관계... 들의 바탕 속에 자신만의 스페셜을 만들 수 있다면.. 더할나위없이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추구하는 모델중 하나가 "T"자형 엔지니어의 모습이며.. 항상 노력해야지라는 마음가짐을 가져봅니다. :)

IT 환경도 이러한 T자형이 많아질수록 더욱 가치있는 모습으로 발전해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ㅡ" -> "I" -> "T"...

어떻게 보면 저 개인만의 생각일 수 있지만, 7월 10일 오후.. 늦게 긴 미팅을 마치고 돌아오면서 생각난 것을 잊기 전에 블로그에 포스팅해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Comments

  • Anonymous
    July 10, 2007
    말씀하신것처럼 T자형 엔지니어가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라는데 동의합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특히나 대한민국 코리아는- 현실이 그렇지 못한 것 같습니다. 제가 몸담고 있는 S모사 역시, 고참급 대리-6~7년차? 평균적인 나이로 30대 중반쯤이겠네요-정도만 되면 허울좋은 PL, PM 이라는 이름으로 관리직에 종사하게 되더군요...(요즘 이것때문에 심하게 이런저런 고민중입니다) 아직까지 위에 계신 분들의 타성에 젖은 생각이 현실을 깨뜨리기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고객들은 오랜경력의 높은 단가의 관리자는 오케이 하면서도 오랜경력의 높은 단가의 엔지니어는 낫오케이하는게 현실이지요. 뭐... 쉽지 않지만 코알라님이나... 살짝 반항해보고 싶은 NoPD군 같은 사람들이 많아지면.. 좀 나아지겠죠? ^_^

  • Anonymous
    July 10, 2007
    처음 글 올립니다. 맨날 읽기만 하고..죄송 ^^ 제가 올해 40인데...관리도 하고 개발도하는 중입니다. 관리는 적성에 안 맞아서 대충 하고 있습니다. 저는 "ㅡ"자형 후배들이 많았으면 합니다. 많은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저러한 기술 잇슈들을 공부해 줬으면 합니다. 국내 IT 프로젝트 환경에서는 한가지 깊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인력을 대거 모아서 프로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일당백으로 업무를 해야 하는 일이 비일비재 합니다. 그러다 보면 "T"자형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I"에서 "T"로 발전도 할 수 있겠죠. 좋은 블로그 감사드립니다. 이성구.

  • Anonymous
    July 11, 2007
    ^^ 오랜만에 방문하네요~ 잘 지내시죠? 현실과 괴리가 있는 IT환경이라 그런가요..? 너무 재미없게 살고 있다는 의미가 되나요?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기쁘지 않으니 이건 왜인건지. 요샌, 참 힘빠지는데,, 님 글을 보고 조금 힘내고 갑니다~ ^^ 좋은 글이네요 ^^

  • Anonymous
    July 11, 2007
    NoPD님, SKLEE님.. //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떤 형태든 대한민국 IT 종사자분들이 다들 전문가이시면서, 힘차게 일하면 좋겠습니다. :) 핑키콘님 :) // 잘지내시죠? 언제 맥주한잔해야하는데.. 힘내세요 화이팅!

  • Anonymous
    July 11, 2007
    전자와 후자를 떠나서 자신과의 싸움 아닐까요? 자신의 노력한만큼 이 문제의 결과를 얻을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항상 걱정되는것이 바로 처음 가졌던 열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까?라는 두려움이 있고 원했던 방향으로 가지 못할때면 자신보단 타인을 탓하면서 자신과의 싸움에서 변명만 늘어나게 되곤 합니다. 제2의 비엔지니어 인생관을 꿈꾸는 젊은이로서 들락날락 거리며 글을 코멘트 남기고 갑니다. ^^*

  • Anonymous
    July 12, 2007
    위 아래가 넓은 I자는 어떨까요? I가 짧으면 어린나이에 엔지니어에서 PM으로 가는거고 I가 길면 오랫동안 엔지니어하다가 나이 들 무렵 PM이 되는거구 요게 이상적인듯하네요 ^^

  • Anonymous
    July 12, 2007
    저는 '-'형 이군요.. 깊이가 없어서.. 나이는 먹는데.. 뭘해야하나 걱정입니다. ㅡㅡ;

  • Anonymous
    July 12, 2007
    이제 우리나라도 그런분들이 나올때가 되지 않았을까요? 이쪽 산업도 성숙화 단계에 있자나요..;; -_- 저는 일단 취업부터.;;

  • Anonymous
    July 13, 2007
    "T자형 엔지니어"에 대해서는 몇년전 HP에서 오랫동안 아키텍트를 하셨던분에게 교육받으며 들었던거 같습니다. 그래도 저는 요즘이 과거보다 개발자들이 커리어패스를 잡기에 좋아졌다 생각합니다. To be continue try to be archit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