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플랫폼을 넘어서... System Center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고 있는 Microsoft Management Summit 2008에서 발표된 소식입니다. 지금까지 Microsoft의 System Center 제품군은 Microsoft 제품군 + 서드 파티 벤더가 제공하는 MP(Management Packs)을 이용한 플랫폼 관리 + 인프라의 장비 관리선까지는 완벽한 관리 솔루션을 제시하였습니다. Operation Manager의 경우 2000, 2005, 2007을 걸쳐, 이제 분산 응용 프로그램의 각 구성요소 관리까지 완벽하게 모니터링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고 있죠.
여러 엔지니어나 인프라에서 들리던 피드백중 하나가 이기종에 관련된 모니터링을 Operation Manager가 제시할 수 없느냐라는 이야기였습니다. 기업 인프라가 Unix, Linux, Oracle, Apache, MySql등 이기종 플랫폼 기술들이 혼재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할 수도 있는 모습입니다.
대형 데이터센터나 호스팅 인프라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래왔었고, 이에 Microsoft 제품군 관리 솔루션과 이기종 관리 솔루션의 분리.. 또는 완전히 서드 파티 벤더의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미국 시간으로 4월 29일.. Microsoft의 서버 & 툴 비즈니스 총괄 Bob Muglia께서 발표하신 사항입니다. 이제 Microsoft의 Operation Manager에서 이기종에 대한 완벽한 지원 로드맵을 제시하였고, Operation Manager의 Cross-Platform Extension의 베타를 릴리즈하였습니다. 지금까지는 이기종 환경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드렸던 서드 파티 벤더에 의해서만 제시되었지만, 이제는 Microsoft에서 해당 이기종 환경에 대해서 적극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로 보이며.. 이는 상호 운영성 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크로스 플랫폼에 대한 지원을 위해 Microsoft는 Web Service for Management, OpenPegasus라는 두가지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또한 OpenPegasus의 경우,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므로,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대한 여러 공헌을 약속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멋진 데모는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peration Manager에 대한 또다른 상호 운영성적인 측면은 바로 IBM의 Tivoli, HP의 Open View와 연결하여 운영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공개입니다.
이와 더불어... Windows Server 2008 Hyper-V를 지원할 수 있는 System Center Virtual Machine Manager 2008의 첫번째 베타 버전도 공개가 되었습니다. SCVMM 2008은 Hyper-V 뿐만 아니라, VMWare Virtual Infrastructure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기술에 대한 베타 버전은 모두 Connect.microsoft.com에서 등록하실 수 있으며.. 이전과 약간의 인터페이스 변경되어서.. 상단의 연결 디렉터리를 이용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기술 분야에 대해서 Microsoft는 상호 운영성 및 크로스 플랫폼 지원을 계속할 것이며, 이를 통해 IT 인프라의 가치는 계속적으로 올라갈 것입니다.
Comments
Anonymous
May 01, 2008
좋네요.. ^^;; OpenPegasus 메일링에 가입하고e-mail을 2년 가까이 받고 있습니다만.. (약간의 개발도.. ㅎㅎ) 며칠 전에 Linux 개발자를 뽑는 MS의 채용메일도 돌더니.. MS가 한다는 것에 언제나 그렇듯 막연한 M$를 느끼게도 합니다만.. 잘 개발되면 그리고... 내가(회사가) 돈이 있다면.. 일하는 입장에서는 편해서 좋긴 하겠습니다. ㅎㅎㅎAnonymous
May 02, 2008
IT 인프라의 발전으로 인해, 규모의 확장은 필수적인 관리 솔루션의 도입을 검토하게 될 것입니다. :) 자주 방문해주세요~Anonymous
May 05, 2008
얼마전에 exe 뭐던가...;;; 기억은 않나지만 이걸 통헤 System Conter oomgr 의 리눅스 및 유닉스에 대한 모니터링 테스트를 진행한 적이 있었습니다. 실제 해당 머신에 MP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Telnet을 통해 로그를 가져오는 방식이더군요...^^ 실전 배치가 될지는 타 제품과 비교를 해봐야 할꺼 같습니다. 윈도우즈 계열을 정말 환상과 같았는데, 유닉스와 윈도를 모두 종합한 표를 그리는데 약간 애를 먹었습니다...ㅋAnonymous
May 05, 2008
아무튼 정말 환영 100배의 소식입니다...^^ 기존의 유닉스 장비에 비해 모니터링에서 소외 됐는 윈도우즈의 부활과 함께 유닉스까지 커버가 가능하다면... 이 보다 제게 더 기쁜 소식이 없을 순 없겠죠...^^ 기존에는 3th part 벤더 라이센스와 oomgr 라이센스를 다 사야했지만 oomgr 라이센스 하나만 구입하고 또한 MS의 기술지원까지 가능해 진다면 저로써는 완전 감사 100배 입니다...ㅋ (무엇 보다도 기술지원에 대한 핑퐁 현상의 사라짐이~~~ ㅋ)Anonymous
June 12, 2008
미국 시간 6월 10일 오전 8시 30분에 Server and Tools 총괄 책임이신 Bob Muglia께서 TechED 2008 for IT Professional의 키노트 세션을Anonymous
August 21, 2008
2008년 4월 말 MMS 2008에서 발표되었던 상호 운영성 사상중 하나였던 크로스 플랫폼에 대한 관리를 기억하시는 분들도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해당 내용 을 포스팅한적도 있었고요.Anonymous
January 22, 2009
2009년 1월 22일 오후,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Novell 행사에서 Microsoft 상호 운용성 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었습니다. 참석해주신 30여분께 가상화 및 Microsoft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