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ager via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IE Patterns and looking forward (3/10)

[MIX11 Day1 키노트 포스트 링크]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Day1 키노트 벗겨먹기~ (1/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Real World HTML5 Application (2/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IE Patterns and looking forward (3/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개발자를 위한 Internet Explorer 10 Platform Preview (4/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Native support for HTML5 & better browser experience (5/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스캇이 말하는 Microsoft Web Platform (6/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ASP.NET MVC 3 Tool update 데모 (7/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WebMatrix, 가볍고 빠른, 무료 웹사이트 개발툴 (8/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오픈소스 웹사이트 제작 엔진, Orchard (9/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Windows Azure (10/10)

안녕하세요. MIX11을 읽어드리는 남자, 코난 김대우입니다.
지 난 시간에 보셨던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Real World HTML5 Application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 소개해 드릴 내용은 IE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차세대 브라우저가 지향하는 내일에 대한 내용입니다.

꼭 IE에 대한 내용이라기보다는, 더 나은 사용성을 위해 IE가 지향하는 Native implementation과 화두(사실 전쟁터죠)가 되고있는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기술명세에 대한 표준화 작업” 진행의 어려움에 대해 한번 더 고민해보는 시간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Get Microsoft Silverlight

 

동영상 - 가운데 "플레이" 버튼을 누르시면 시작됩니다.

clip_image007
IE9의 Patterns라는 내용으로 작년 MIX10에서 소개된 IE9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봅니다.

clip_image008

1년전, MIX10에서 IE9 플랫폼 프리뷰를 발표하면서 만든 약속이었죠. 웹표준, 커뮤니티에 대한 약속을 지키고 다양한 영역에서 추가적인 표준화를 위한 활동을 매진하고 있다고 하네요.

IE이 지향하는 최적화된 브라우저 - Native implementation 과 표준화를 위한 노력

Native implementations are just better for developers, for consumers, and businesses. The performance and feel of sites, it's just closer to what people expect from apps. Using compatibility layers to run cross-platform in non-native ways makes browser development easier; it doesn't always make a better browser or the best experience of the Web.

Browsers that optimize for modern operating systems more directly deliver better experiences. Someone who's spread too thin across too many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 too many different versions of too many different operating systems can't deliver the best experience on any one of them.

Dean Hachamovitch – Microsoft

누구를 위한 웹인지, 차세대 웹의 목적이 뭔지를 고민해본다면 차세대 브라우저가 지향하는 방향은 자명할 것 같아요.

하지만, 가야할 길을 안다고 해도 업계의 상황이나 시장의 상황도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물론 중요할 겁니다.

image

Windows7이 XP 마켓 쉐어를 뛰어넘음 - 업계와 시장 모두 IE가 지향하는 Native implementation을 위한 다양한 환경(OS환경 포함)이 우리의 기대보다 더욱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아 직은 표준 기술명세가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IE9은 다양한 HTML5 등에 사용되는 융합 W3C 표준과 마크업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표준화 과정을 진행하면서 겪게되는 여러 사연들은 많이 있겠죠. 웹은 누구나 의견을 제시하고 개진할 수 있으니까요.
image
WebSocket을 예로든 Progress와 사용성에 대한 딜레마 비디오 클립 – 아 캐릭터 참 귀요미!!!

clip_image010

HTML5labs를 통해 다양한 새로운 실험적인 시도와 프로토타이핑, 의견 개진, 피드백 수렴이 가능합니다. 옷홍~
참고링크 : https://www.HTML5labs.com

자~ 이렇게 해서 간단히 IE9의 어제와 오늘, Native implementation에 대한 고민과 HTML5 표준 기술명세를 향하는 여러 어려움등을 살펴 보았습니다.  자~ 지금까지는 어제와 오늘의 브라우저를 보셨네요. 이제, 차세대 브라우저를 보실 차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MIX11에서 처음 소개되는 IE10 플랫폼 프리뷰!!! 다음 포스트도 저와 함께 달려 보시죠~
감사합니다.

 

[MIX11 Day1 키노트 포스트 링크]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Day1 키노트 벗겨먹기~ (1/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Real World HTML5 Application (2/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IE Patterns and looking forward (3/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개발자를 위한 Internet Explorer 10 Platform Preview (4/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Native support for HTML5 & better browser experience (5/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스캇이 말하는 Microsoft Web Platform (6/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ASP.NET MVC 3 Tool update 데모 (7/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WebMatrix, 가볍고 빠른, 무료 웹사이트 개발툴 (8/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오픈소스 웹사이트 제작 엔진, Orchard (9/10)
MIX11을 통해 보는 차세대웹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Windows Azure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