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key 쌤과 꼬알라의 Windows 7 만담 시리즈 23편! - Windows Readyboost
Winkey 선생님과 함께 진행하는 Windows 7 만담 시리즈, 23번째!!시간.. 내 PC를 빠르게빠르게.. Windows Readyboost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PS : 해당 글은 MSDN Popcon - https://blogs.msdn.com/popcon에도 동시에 포스팅되어져 있습니다.
[embed]https://media.ch9.ms/ch9/d85f/e7428ad9-fcc8-4279-9cd0-67535651d85f/Mandam23_high.mp4[/embed]
Comments
Anonymous
July 09, 2009
네... 다음편에 만나요..ㅠ_ㅠ 이번편은 덕장 PD님이 조용하시네요. 종방에서는 출연하셨던 모든 분들의 소감을 듣고싶습니다.(특히 혜성처럼 나타나셨던 MSP 2기 너구리님)Anonymous
July 09, 2009
이런 질문해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윈도우Vista때부터 있던 버그인, 폴더명을 ' (ㄱ->한자->1)'로 지정 하면 삭제는 물론 복사/이동/이름바꾸기 자체가 되지를 않는데 (xp에서는 제거가 가능합니다.) 윈도우7에선 이 현상이 고쳐졌는지 궁금합니다.Anonymous
July 09, 2009
파미님 // 안녕하세요. ㄱ(한자 1)은 공백인거 같은데.. Windows 7에서는 잘 삭제/복사/이동/이름 변경 다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Anonymous
July 09, 2009
럭키맨님 // 안녕하세요. MSP 2기셨던 너구리님은 인턴 기간이 종료되셔서.. 더이상 출근하시지 않습니다. :)Anonymous
July 10, 2009
참 궁금한게 있습니다. XP도 Vista도 Windows 7에서도 cpu L2 Cache의 값을 자동으로 인지못해서 수동으로 레지스트리를 수정하고 있는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 오른쪽 SecondLevelDataCache 항목) 사용자가 바꿔줘야 합니까?Anonymous
July 10, 2009
다행이네요^^ 비스타 서비스팩2에서도 이 문제가 고쳐지지 않았더라구요.. 폴더명을 그냥 공백(ㄱ->한자->1)로 지정해두면 이동/삭제/복사/이름 바꾸기가 되지 않아서 명령프롬프트에서 써야 하더라구요...Anonymous
July 14, 2009
어떤 의미로 해당 값을 변경해야 한다는 것인지 이해는 안됩니다만 혹시 잘못 알고 계신 것이 아닌가 생각 생각 되는 데요.. 기본적으로 OS 부팅 시 하드웨어의 L2 cache의 크기를 HAL에서 자동 Scan해 윈도우가 인식하게 되는데 그것이 SecondLevelDataCache의 값이 0일 때 입니다, 만약에 Scan으로 인식하지 못했다면 Default로 L2 Cache를 256KB로 설정 합니다. 해당 값 '0'을 변경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면 변경 한다고 해도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0'값 그대로 두시길 권장합니다. [참조문서] Detailed Explanation of SecondLevelDataCache http://support.microsoft.com/kb/183063/EN-US/ How to Change the Server Service Properties http://support.microsoft.com/kb/228766/en-usAnonymous
July 14, 2009
Sankim // 왕림하셨군요 :) 답변 감사드립니다.Anonymous
July 14, 2009
아..이럴수가! PC 사랑 기사 - XP와 Vista 최적화 팁 60가지를 보고 여태껏 바꿔줬는데.. 책에는 Windows NT HAL은 설치된 L2 캐쉬의 양을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용자가 바꿔주라고 나와있었습니다. QAOS 사이트에서도 L2 캐쉬 지정해서 속도향상시키는 팁이 있고요. http://cafe.naver.com/msc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07 여기에 XP L2 캐쉬 지정으로 속도향상 시키기의 허와 실 내용이 있더군요. 각종 사이트에서 검색해보면 많은 사람들이 저처럼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Anonymous
July 14, 2009
10년도 더 된 하드웨어와 초기 NT 시절 이야기가 지금까지 이여 내려오는(?) 경우가 많이 있는것 같아요. 이런것도 역사의 일부(?)라고 믿습니다. ^^ 그리고 제가 OS의 발전을 이야기 할때 가장 좋아하는 단어가 '진화'입니다. 이번 건은 우리 선조가 꼬리가 있었다는 증거로 아직 우리에게 꼬리뼈 일부가 남아 있지만 꼬리는 없는 예로 적절 하겠네요.. ^^Anonymous
July 14, 2009
sankim 선생님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블로그에 있는 Windows 성능 옵션(프로그램 vs 백그라운드 서비스)을 이해하다, 4GB 제한의 진실, 32비트 Windows (XP, Vista, 7)클라이언트 글을 정말 잘 읽었습니다. 진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sankim 선생님 최고!Anonymous
July 22, 2009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readyboost가 캐쉬기술을 이용한 것이라면 램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인가요 ? vista에서는 4GB까지 램이 적용된다고 알고있는데 readyboost도 4GB만 만들수 있다고 하니 먼가 관계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혹시 win7에서는 32BG까지 램이 적용 되는 것인가요 ? 또한 readyboost 용량이 시스템 부팅속도와도 관계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Anonymous
August 01, 2009
설명중에 하드디스크보다 USB 메모리가 빠르다는 말은 틀린 것입니다. HDD 보다 버스에 연결된 Flash Memory (SSD의 일종)이라면 설명이 맞습니다.Anonymous
August 01, 2009
leeky님 // 안녕하세요. 모든 USB 메모리가 Readyboost를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USB 플래쉬 메모리가 전통적인 하드 디스크보다 일반적인 읽기는 더 빠릅니다. 참고로 http://en.wikipedia.org/wiki/ReadyBoost 를 살펴보시면... Using ReadyBoost-capable flash memory (NAND memory devices) for caching allows Windows Vista to service random disk reads with performance that is typically 80-100 times faster than random reads from traditional hard drives. 라는 부분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nonymous
August 18, 2009
안녕하세요. 노트북 사용중이고 일반 하드에 윈도우7이 깔려있읍니다. 익스프레스 카드단자에 ssd 장착되 있습니다.(ide hdd로 인식되 있음) 익스프레스카드 단자에 연결되 있는 ssd 로는 부팅지원이 되지 않아 os는 깔수 없읍니다. ssd에 레디부스트 등을 설정하고 싶지만. 레디부스트 메뉴 자체가 활성화가 안되는데 방법이 없는지 ?Anonymous
November 02, 2009
좀다른 질문인데 서버2008R2에서는 왜 레디부스트가 사라졌을까요? 서버시스템에는 안맞는 것인가요?